달도없는 깜깜한 밤에 빛나는 별처럼★

POST : IT/Linux

[Linux] cp 명령어, 정의, 사용법, 예제

# cp : copy의 약어로 파일을 다른 이름으로 복사하거나 다른 디렉토리로 복사하는 명령.

        도스의 copy와 비슷하나 더 많은 기능을 한다.

 

사용법 :  
1) cp [option] file1 file2 => : file1을 file2로 복사한다.


2) cp [option] files directory => file을 해당 directory에 복사한다.

 

# 명령어
1) -r : 서브디렉토리까지 복사한다. 디렉토리를 복사하고자 할 때 필요한 옵션이다.(-R)과 같다.

 

2) -i : interactive(상호영향)의 약어, 복사할 대상 파일이 이미 존재할 때 덮어 쓸 것인지를 물어본다.

 

3) -f : 같은 파일의 이름을 가지는 파일이 있는 경우 이 파일을 지운 후 복사한다. 즉 강제로 덮어쓴다.

 

4) -b : 덮어쓰거나 지울 때 백업본의 파일을 만든다. 이 옵션을 사용하면 뒤에 ~가 붙는 파일이 생성된다.


5) -s : 복사하는 대신에 심볼링링크를 만든다.


6) -p : 소유권, 그룹, 허가권, 타임 스탬프 등 모든 정보를 복사한다.

         이 옵션이 없을 경우 현재 시간과 기본 허가권, 소유권, 그룹 정보로 파일을 복사한다.

 

7) -v : 파일을 복사하기전에 각각 파일명을 표시한다.


8) -d : cp 명령은 복사할 파일이 심볼릭링크파일인 경우에는 그 원본파일을 찾아 복사한다.

        이 옵션은 심볼릭 파일인 경우 그 심볼릭 정보와 함께 링크파일 그대로 복사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.


9) -a : -dpR옵션과 같다. 특정 파일의 속성,링크 정보들을 그대로 유지하고 그 하위디렉토리까지 전부 복사할 때 사용한다.

 

# 예제

1) cp /etc/lilo.conf . 
    => /etc/lilo.conf라는 파일을 현재 디렉토리 복사한다.

 

2) cp /etc/lilo.conf info.conf 
    => /etc/llio.conf라는 파일을 현재 디렉토리의 info.conf라는 파일로 복사한다.

 

3) cp -r /etc/* tmp 
    => /etc아래에 있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들을 tmp라는 디렉토리에 복사한다.
4) cp readme ./data 
    => readme파일을 현재 디렉토리밑의 data디렉토리로 복사한다.


5) cp -rp etc etc2 
    => etc의 속성을 그대로 etc2라는 이름으로 복사본을 만든다.


6) cp a.txt b.txt /tmp 
   => 현재디렉토리의 a.txt b.txt를 /tmp라는 디렉토리안에 복사한다.


7) cp -a /etc/skel/. /home/posein
   => /etc/skel 디렉토리안에 있는 모든 파일의 속성, 링크 정보 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

        /home/posein이라는 디렉토리로 복사한다.

top

posted at

2017. 7. 25. 15:17


POST : Daily & 맛집

[Daily & 맛집] 보라매 아카데미 이화수 전통육개장

육개장은 집에서 먹으려해도 엄마가 맨날 한냄비 끓여주고..ㅠㅠ

 

잘 안먹다보면 주기적으로 먹고싶은 음식입니다.

 

보라매 아카데미 2층에 위치한 이화수 전통육개장 입니다.

 

실내사진은 못찍었는데 상당히 테이블도 많고 넓습니다.

 

아이들데리고 오시는 분들은 안쪽에 따로 테이블이 있어서 씨끄럽지도 않고 좋았습니다.

 

# 외관 사진입니다.

엘레베이터 내리셔서 오른쪽보시면 바로 있어요~!

 

 

# 메뉴판 입니다.

저흰 전통육개장육개장 칼국수 를 시켰습니다.

전골먹어보고 싶은데 완전 술안주같아서.... 다음에 먹어보는걸로 : )

전골시키면 서비스도 많이나오네요 !

 

 

# 밑반찬 입니다.

백김치, 콩나물, 깍두기 가 나오네요.

백김치는 식감이 좋았어요~!

 

 

# 육개장칼국수와 육개장입니다.

맛은 매콤하지않고 적당하니 좋습니다.

칼국수도 면빨이 쫄깃 !

만두도 시켰는데 사진이없네요 ㅠㅠ

 

 

# 위치 입니다.

조금 기분나쁜일이 있었지만, 책임자분이 오셔서 빠르고 신속하게, 기분나쁘지않게 잘 대응, 처리해주셨습니다 ^^

 

 

top

posted at

2017. 7. 25. 13:37


POST : IT/Linux

[Linux] rmdir, rm(remove) 명령어 정의, 사용법, 예제

# rmdir : remov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토리를 지우는 명령이다.

            단, 지우고하는 디렉토리안이 비어있지 않으면 지울 수가 없다.

            도스의 'rd'명령과 유사하다. 보통 'rm -r'명령으로 디렉토리를 지우는 경우가 많아 잘 사용되지는 않는다.

 

# 사용법 : rmdir [option] directory(s)

 

# 명령어 :

-p : 지우고자 하는 디렉토리를 지우고 그 결과로 부모디렉토리가 빈 디렉토리가 되면 부모디렉토리까지 지운다.

 

# 예제 :

[root@localhost /]# rmdir chun

 

 

 

# rm(remove) : 파일을 지우는 명령으로 옵션에 따라 디렉토리도 지운다. 도스의 'del','deltree'명령과 유사하다.

 

# 사용법 : rm [option] 파일 또는 디렉토리

 

# 명령어 :

-f : 쓰기권한이 없는 파일이라도 아무 메시지없이 강제로 지운다.

 

-i : 파일마다 지울 것인지를 확인한다. 

 

-r : 서브 디렉토리를 포함하여 디렉토리 안의 모든 내용을 지운다.

    이 옵션을 쓸때는 파일 이름 대신에 디렉토리 이름을 지정해 주어야 한다. (-R과 같다.)

 

# 예제
1) rm -i * :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하나씩 확인하면서 지운다.
[root@localhost /]# rm -i chun

 

2) rm -rf tmp : tmp라는 디렉토리와 그 안의 모든 파일들을 허용권에 관계없이 강제로 지운다.
[root@localhost /]# rm -rf chun

 

3) rm 1.txt 2.txt 3.txt : 문서 3개를 한꺼번에 지운다.
[root@localhost /]# rm 1.txt 2.txt 3.txt

top

posted at

2017. 7. 25. 13:23


CONTENTS

달도없는 깜깜한 밤에 빛나는 별처럼★
BLOG main image
추니의 Daily, 맛집, IT공부
RSS 2.0Tattertools
공지
아카이브
최근 글 최근 댓글 최근 트랙백
카테고리 태그 구름사이트 링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