달도없는 깜깜한 밤에 빛나는 별처럼★

POST : IT/Linux

[Linux] cat 명령어 정의, 사용법, 예제

cat (concatenate) : 표준입력으로 받는 값을 표준 출력으로 보낸다. 기본적으로 파일의 내용을 출력을 한다.
  여러개의 파일이름을 적어주면 차례로 출력시키므로 파이프나 리다이렉션을 통해 파일을 하나로 합치는 기능도 수행한다.

  도스의 'type'명령과 유사하다.


사용법
   cat [option] filename(s)


# 명령어 
   -b : 줄번호를 붙여 준다.(공백만 있는 줄은 제외)


   -n : 줄번호를 붙여 준다. (공백만 있는 줄도 포함)


   -E : 각 라인의 맨 끝에 $표시를 붙여 출력한다.


   -T : 탭문자를 ^I로 표시하여 출력한다.


   -v : 인쇄가 불가능한 문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.


   -A : 모든 문자를 출력해준다. 일반적으로 출력되지 않는 특수문자도 출력해준다.


   -s : 인접한 여러 공백줄을 하나의 공백줄로 출력한다.


사용예

   1) cat => 표준입력(키보드로부터의 입력)을 표준출력(모니터)로 출력한다.


   2) cat > a.txt  => 키보드로부터 입력받은 내용을 a.txt라는 파일에 저장한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입력한 후에 [CTRL]+[d]를 입력하면 입력한 내용이 a.txt로 저장된다.


   3) cat < a.txt => a.txt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해준다. '<'를 생략하고 cat a.txt 한 것과 같다.


   4) cat < a.txt > b.txt => a.txt의 내용을 b.txt라는 파일에 출력한다. 이 경우에는 cp a.txt b.txt한 것과 같다.


   5) cat a.txt b.txt => a.txt내용과 b.txt내용을 화면에 출력한다.


   6) cat a.txt b.txt > c.txt => 'a.txt', 'b.txt' 두 파일 내용을 합해서 c.txt라는 파일로 저장한다.


   7) [root@localhost /]# cat -b a.txt
     1 123
     2 456

 

     3 789
     4 qwe

 

     5 asd
     => 공백란에는 번호가 붙지 않는다.

 

   8) [root@localhost /]# cat -n a.txt
     1 123
     2 456
     3 
     4 789
     5 qwe
     => 공백만 있는 줄에도 줄번호를 붙여서 보여준다.

top

posted at

2017. 8. 1. 15:22


POST : IT/Linux

[Linux] mv 명령어 정의, 사용법, 예제

# mv : move의 약어로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이름을 바꾸거나 위치를 이동시키는 명령.

         도스의 'ren'명령이나 'move'명령과 비슷하다.

사용법 
   1) mv [option] old_name new_name => old_name을 new_name으로 바꾼다.


   2) mv [option] file(s) directory => file(s)을 directory로 옮긴다.

# 명령어
   -f : 옮겨질 파일이 이미 존재하더라도 묻지 않고 덮어 쓴다. ('f'는  force의 약어)


   -i : 옮겨질 파일이 이미 존재하는 파일이면 덮어 쓸 것인지 물어본다.


   -b : 파일을 지우기 전에 백업본을 만든다.


   -u : 옮겨질 디렉토리에 구버전의 파일이 있는 경우에만 옮긴다.


사용예
   1) mv readme.txt /home/posein/data

      => readme.txt라는 파일을 /home/posein/data디렉토리로 옮기라는 명령.


   2) mv /home/posein/pds /home/posein/data

      => /home/posein/pds라는 디렉토리를 /home/posein/data 라는 디렉토리명으로 변경.


   3) mv aaa.txt bbb.txt => aaa.txt 파일을 bbb.txt파일로 변경.

top

posted at

2017. 8. 1. 15:02


POST : IT/Windows

[Windows] Windows Server 2012에서 티밍 설정하는 방법 !!

# 서버관리자에서 왼쪽 로컬서버를 탭하시면 NIC팀이 있습니다.

사용안함 을 클릭해줍니다.

 

 

# 사용가능란에 티밍하고싶은 이더넷을 클릭하고 마우스오른쪽버튼을 누르면 새팀에 추가 라는 항목이 나옵니다.

 

 

# 팀 이름을 설정하고 추가속성을 눌러줍니다.

 

 

# 팀구성모드는 독립전환

부하분산모드는 동적 으로 변경해줍니다.

 

 

# 네트워크어댑터에 설정한 네트워크의 상태가 확인됩니다.

 

 

# 네트워크의 IP주소, SUBNETMASK, GATEWAY 를 설정해줍니다.

 

 

top

posted at

2017. 8. 1. 13:59


CONTENTS

달도없는 깜깜한 밤에 빛나는 별처럼★
BLOG main image
추니의 Daily, 맛집, IT공부
RSS 2.0Tattertools
공지
아카이브
최근 글 최근 댓글 최근 트랙백
카테고리 태그 구름사이트 링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