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T/Linux

[Linux] rmdir, rm(remove) 명령어 정의, 사용법, 예제

Mr. Chun 2017. 7. 25. 13:23

# rmdir : remov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토리를 지우는 명령이다.

            단, 지우고하는 디렉토리안이 비어있지 않으면 지울 수가 없다.

            도스의 'rd'명령과 유사하다. 보통 'rm -r'명령으로 디렉토리를 지우는 경우가 많아 잘 사용되지는 않는다.

 

# 사용법 : rmdir [option] directory(s)

 

# 명령어 :

-p : 지우고자 하는 디렉토리를 지우고 그 결과로 부모디렉토리가 빈 디렉토리가 되면 부모디렉토리까지 지운다.

 

# 예제 :

[root@localhost /]# rmdir chun

 

 

 

# rm(remove) : 파일을 지우는 명령으로 옵션에 따라 디렉토리도 지운다. 도스의 'del','deltree'명령과 유사하다.

 

# 사용법 : rm [option] 파일 또는 디렉토리

 

# 명령어 :

-f : 쓰기권한이 없는 파일이라도 아무 메시지없이 강제로 지운다.

 

-i : 파일마다 지울 것인지를 확인한다. 

 

-r : 서브 디렉토리를 포함하여 디렉토리 안의 모든 내용을 지운다.

    이 옵션을 쓸때는 파일 이름 대신에 디렉토리 이름을 지정해 주어야 한다. (-R과 같다.)

 

# 예제
1) rm -i * :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하나씩 확인하면서 지운다.
[root@localhost /]# rm -i chun

 

2) rm -rf tmp : tmp라는 디렉토리와 그 안의 모든 파일들을 허용권에 관계없이 강제로 지운다.
[root@localhost /]# rm -rf chun

 

3) rm 1.txt 2.txt 3.txt : 문서 3개를 한꺼번에 지운다.
[root@localhost /]# rm 1.txt 2.txt 3.txt